본문 바로가기

닥치고 공부

공간 아키텍쳐 3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9/25 공간 아키텍쳐 3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 영화를 사례로 "Jungle & Office Lighting" "단언컨대 CUC(쿡 또는 쿠키 라이팅 / cucoloris) 효과를 사용하는 것은 영화와 CG의 조명 연출의 완성이다." * 조명의 미학적 분석 영화 * 1. Predator (1987 / 존 맥티어난)2. Catch Me If You Can (2002 / 스티븐 스필버그)3. The Incredibles (2004 / 브래드 버드)4. Brave (메리다와 마법의 숲) (2012 / 마크 앤드류스, 브렌다 채프먼)5. ET (1982 / 스티븐 스필버그)6. Avatar (2009 / 제임스 카메론)7. The Old...? 정글 라이팅 - 정글씬에 들어가야 하는 조명.. 더보기
공간 아키텍쳐 2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9/15 공간 아키텍쳐 2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 영화를 사례로 "Light over Dark, Dark over Light" "어두운 곳 위에 밝음이 있고, 밝은 곳 위에 어두움이 있다" - 영화 · 영상에 있어서 라이팅 디자인 기본이자 완성이 된다. * 조명의 미학적 분석 영화 * 1. Fight Club (1999 / 데이빗 핀처) 2. Aliens (에일리언2) (1986 / 제임스 카메론) 3. The Book of ELI (2010 / 앨버트 휴즈, 알렌 휴즈) - 카메오 방식의 조명은 될 수 있으면 사용하지 않는다.(카메오 방식의 조명은 매우 빠른 폴오프로 극적인 느낌을 주지만, 특별하게 사용하여야 할 씬이 아니면 영화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실루엣 조명에서 캐릭터.. 더보기
공간 아키텍쳐 1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9/15 공간 아키텍쳐 101 - 라이팅(조명) 연출의 미학적 원리 : 영화를 사례로 "Light over Dark, Dark over Light" "어두운 곳 위에 밝음이 있고, 밝은 곳 위에 어두움이 있다" - 영화 · 영상에 있어서 라이팅 디자인 기본이자 완성이 된다. * 조명의 미학적 분석 영화 * 1. 블레이드 러너 (1982 / 리들리 스콧) 2. Dragon Tatto (밀레니엄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2011 / 데이빗 핀처) 3. Seven (1995 / 데이빗 핀처) - Out screen의 조명 배치는 현실적일 필요는 없다. - 명암대비가 높을수록(폴오프가 빠를수록) 시각적으로 더 부각된다. - 캐릭터의 밝은 부분은 배경보다 더 밝아야 하고, 캐릭터의 어두운 부분은 배경보다 더 .. 더보기
논문의 작성 순서 단계 1 - 관심분야의 선정 단계 2 - 관심분야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단계 3 - 연구문제의 선정 단계 4 - 연구가설 설정을 위한 이론적 배경 고찰 단계 5 - 연구가설의 설정 단계 6 -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연구 설계 단계 7 - 자료 수집 및 가설 검증 단계 8 - 가설 검증 결과의 해석 및 논의 단계 9 - 연구 결론의 도출 더보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식 [자료 1] 양적 연구(量的硏究, 영어: quantitative research) 양적 연구는 사회과학에서 통계적, 수학적, 계산적 기법을 통한, 사회 현상의 체계적인 경험적 탐구를 가리킨다. 양적 연구의 목적은 현상에 관련한 수리 모델, 이론/가설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양적 연구는 심리학,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과 같은 사회과학 분야에 널리 쓰이며, 인류학과 역사학에도 쓰이지만 그리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특정한 연구 사례들에 대한 정보만 만들어내며 더 포괄적인 결론들은 단지 가설일 뿐이다. 양적 연구 기법들은 이러한 가설들이 참인지를 규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질적 연구(質的硏究, 정성적 연구, 영어: qualitative research).. 더보기
[펌] ‘파리학과’ 전공의 학사, 석사, 박사, 교수의 차이점? ‘파리학과’ 전공의 학사, 석사, 박사, 교수의 차이점? 자기 전공분야에 매몰된 나머지 타 전공에 대한 이해는 물론 소통과 교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극단적인 폐해와 역기능을 파리학과 메타포에 비추어 설명해본다. 여러분이 대학의 파리학과를 졸업한 파리학사라고 가정해보자. 파리학사는 ‘파리개론’부터 배우기 시작해서 파리 부위별 각론으로 나눠서 배우기 시작한다. ‘파리학 개론(槪論)’은 보통 파리전공과 관련해서 처음 오리엔테이션 성격을 띠는 일종의 입문 교과목이다. 보통 ‘~개론’은 학생들에게 감동적인 교과목인 경우는 드물다. 이제까지 개론 책을 읽고 너무나 감동적이어서 눈물을 흘렸거나 지적 분개의식을 느낀 사람은 거의 없다. 왜냐하면 ‘개론’은 ‘개’소리하는 ‘론’이라는 약자라는 설이 있다. 개론서는 저자의 .. 더보기
VBA 공부 ① 1. 원하는 시트로 이동하기─────────────────────────────────────────────Sub NAME() Sheets("Sheet1").Activate'"Sheet1"의 시트를 활성화 시킨다.'또는 Sheets(1).Activate 을 입력하면 첫 번째 시트를 활성화 시킨다. End Sub───────────────────────────────────────────── 2. 원하는 시트로 이동하고 원하는 열에서 Null값 찾기(다음 입력 순번 찾기) 두 가지 방법─────────────────────────────────────────────Sub NAME() ' 아래와 같이 순환문 구조로 해당 열의 공백 란을 찾을 수 있음 Dim i As IntegerDim list As Inte.. 더보기
컵안에 물을담다. 제가 중학생 시절 보았던 영화 에 잊히지 않는 장면이 있습니다.이 영화는 마루사라 불리는 국세국 사찰부의 사찰관이 탈세 혐의가 있는 경영자를 추궁해가는 이야기입니다."어떻게 하면 당신처럼 부자가 될 수 있지?" 라고 묻는 장면이 있습니다.그 경영자는 의기양양한 얼굴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동굴 안에 당신 혼자 있다고 합시다.목은 칼칼하게 말라 있죠.그리고 동굴의 천장에서 한 방울씩 물이 떨어집니다.그것을 당신은 컵으로 받습니다.보통 사람이라면 목이 칼칼하므로 절반 정도만 받으면 마셔버립니다.그러나 그러면 안됩니다.컵이 차도록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참습니다.그래서 드디어 컵의 상한까지 물이 찹니다.그래도 아직 마시면 안 됩니다.그리고 있으면 물이 넘치겠지요.그 넘친 물을 핥아서 목을 축입니다.그렇게 하면 .. 더보기
88만원 세대 88만원 세대 경제학자 우석훈과 비주류를 자칭하는 기자 출신 블로거 박권일이 함께 쓴 책 《88만 원 세대》에서 시작된 말이다. 88만 원 세대에서 88만 원은 우리나라 비정규직의 평균 임금인 119만 원에 20대의 평균 소득 비율 74퍼센트를 곱해서 산출한 금액이다. 결국 88만 원 세대란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20대의 평균 임금 소득을 통해 미래에 대한 불안 속에 사회생활을 시작해야 하는 20대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단어라고 할 수 있다. 88만 원 세대의 선배라고 할 수 있는 386세대는 선동열 학점이라는 0점대 학점을 받아도 대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직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대학을 갓 졸업한 88만 원 세대는 사회생활의 첫발을 아르바이트나 비정규직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 더보기
Vray 알짜배기 정리 노트2 + IOR 테이블 오늘은 크리스탈 재질과 같은 셰이더를 제작하기 위해 Vray의 Caustics를 간단하게 테스트 해 봤다. 먼저 Geosphere를 이용하여 약간의 edge조절과 함께 보석 모양의 오브젝트를 만들었다. 그리고 환경 셋팅(모서리가 둥근 흰색 종이를 백그라운드로 하고, 컬러브리드를 위한 파란색 천, 그리고 라이팅 몇 개) Vray camera와 GI를 켜고(Irradiance / Light cache) 렌더링 하니 이렇게 나왔다. 플리커가 조금 있어서 subdivs 값을 두 배로 올려주고.. 다음은 Vray mtl의 Reflection과 Refraction을 조금씩 주고 렌더링 해봤다. * Reflection 중간 값 * Reflection 중간 값 & Refraction 높은 값 & 얕은 cyan의 fo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