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계산서(자동 수식 버전) 무료 배포 v1.00
난생 처음으로 프로그래밍을 써서 만들어본 세금계산서 배포 버전을 드디어 완성했습니다! +_+ (뿌듯) (누가 써주는 사람은 있을까?ㅠ) 역시 프로그래밍은 무언가를 만들면서 배워야 목표도 생기고 "아~ 이래서 이렇게 되구나!"와 같은 재밌는 깨달음도 얻게 되고 :)
수기식으로 세금 계산서를 발행하는 분들은 한 번 발행해 주는 게 얼마나 괴로운 일인지 저도 격하게 공감합니다. 쬐만한 저 숫자들 하나라도 틀리면 안되기 때문에 왕눈이 부릅뜨며 하나하나 신경 써야하고, 혹시라도 틀린 것 있으면 ~ 찍~~(찢는 소리) 하고 처음부터 다시 계산기 두드리며 작성 해야하고.. 또 매주 끊어줘야 하는 업체를 만났다간 대머리 되기 쉽상인 세금계산서 ㅠㅠ 저도 여기에 많은 시간들을 빼앗겨 봤고, 숫자 하나의 실수를 통해 욕 한 바가지 시원하게 마셔봤고.. 거래처가 늘어나면 늘어날 수록 할애해야 하는 시간도↑, 피로도↑ 더는 안되겠다 :( 개발자가 되어야 겠다 싶어 VBA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배운 프로그래밍은 엑셀의 수식 처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고 제 스스로에게도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아! 역시 사람은 발전을 하려면 개발을 해야하구나.
Siksam's 세금계산서(자동 수식 버전) 무료 배포 v1.00 에 대한 간략 리뷰
제 나름 계산서 발행 방식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발행하고 관리에 용이하도록 제작하였습니다. 다만 계산서 한 장 발행 = 1회 거래 내역 표기 방식으로 제작했기에 단일 거래처에 대하여 주 단위로 계산서를 발행하는 상황이거나 다 품목 표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특징 :
1. 공급받는자(거래처)의 데이터를 한 번만 저장해두면 나중에 사업자 등록 번호만 입력해도 나머지 정보들이 모두 호출되도록 했습니다.
2. 저 같은 경우는 공급자를 다른 사업자로 발행한 경험도 있었기에 공급자의 데이터도 위 1번 항목과 같이 저장 후 호출하는 식으로 제작하였습니다.
3. 따로 계산기를 두드리지 않아도 모든 숫자들은 수식으로 입력되며 별도의 보조 계산기능 수식을 내부에 첨부하였습니다.
4. 위 4번항목의 또다른 장점은 모든 숫자들이 수식으로 입력되기에 숫자 확인과 같은 점검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5. 발행 내역을 누적시키기 때문에 지금까지 발행된 거러처별 날짜와 총 발행 금액을 쉽게 확일 할 수 있습니다.
6. 사업자 도장을 찍은 이미지를 스캔한 후 투명처리하여 프린터 후 도장 찍는 과정 없이 바로 팩스로 송신할 수 도 있습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임의로 공급자와 공급받는자를 만들어본 샘플 이미지 입니다.
* 해당 파일을 다운받아 보면 위 그림과 같이 다섯 개의 시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data : 거래처의 사업자 등록증 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2. data2 : 현재 나의 사업자 정보를 입력하는 곳입니다.
3. 발행내역 : 주요 페이지로서 모든 발행 내역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4. 세금 계산서 : 발행내역 시트에 입력된 값을 토대로 세금 계산서 양식에 맞게 자동 출력할 수 있습니다.
5. 세금 계산서(빈양식) : 말 그대로 빈 양식입니다.
- data 시트 : 개수 제한 없이 사업자 등록증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해당 거래처에 대해 자동 수식을 통해 세금 계산서를 발행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업자 번호는 <유일키>가 됩니다.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사업자 등록증 정보와는 상관없이 비고로 Phone Num, TEL, FAX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공란이 있습니다. 이것을 입력해두면 주소록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계산서 프린터 완료후 팩스 송신 단계에서도 계산서 상에 표기된 FAX 번호를 바로 확인하여 보낼 수 있습니다.
- data2 시트 : 위의 data 시트와 마찬가지로 현재 나의 사업자 정보를 입력 하는 곳입니다. 여기서는 상호명이 <유일키>가 됩니다. 또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Phone Num, TEL, FAX번호를 입력해두면 상대 거래처가 받은 "공급받는자 보관용" 계산서상에서 나의 연락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발행내역 : Data 시트와 Data2 시트에 등록된 유일키를 입력하고 발행 날짜와 금액 등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아래에 상세 설명 추가>
- 상호표시 : 발행내역이 적을경우 Ctrl + F의 검색 단축키로 찾을 수도 있지만, 발행 내역이 많을 경우 "상호표시"에 찾고자 하는 상호명의 일부만 입력해줘도 발행 날짜만 다른 같은 사업장을 모두 찾을 수 있습니다.
- 공급받는자(거래처) 버튼 : data 시트로 이동합니다.
- 공급자 버튼 : data2 시트로 이동합니다.
- 행추가하기 : 엑셀 자체의 "삽입" 기능으로 행을 추가해선 안되고 "행 추가하기" 버튼을 통해서 행을 추가하여야 정상적으로 수식 계산이 됩니다. (** 반대로 삭제는 해당 행 번호의 맨 앞 숫자를 클릭하고 우클릭 - "삭제" 버튼을 클릭해야 정상적으로 삭제가 됩니다.)
- 현재 행 계산서 발행 : 발행 하고 싶은 행의 아무 열이나 선택한 후 이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행의 거래처로 정보로 계산서에 입력됩니다.
- 발행NO Column : 제가 정의한 Column으로 년도/월/일/순번 으로 입력합니다 ex)2014년 7월 18일에 첫 번째로 발행한 계산서일 경우 → 14071801 (** 수식 관련하여 이 Column은 유일키가 되어야 하므로 해당 Column내에 중복 값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
- 사업자번호 Column : 이곳에 발행하고자 하는 사업자 번호를 그대로 입력해주면 됩니다.
- 영수증 작성일자 : 계산서 상에 실제로 표기되는 날짜를 이곳에 입력합니다. <아래 그림 참조>이 Column은 오늘이 아닌 지난 과거의 날짜로 발행할 수 도 있고, 내일 등 미래의 날짜로 발행 해야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ex) "20140210" 을 입력할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자동 입력됩니다.
- 종목 Column : 위 그림과 같이 "품목"란에 기록될 내용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 합계금액 Column : 부가세를 포함한 합계 금액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아래 그림 참조>
ex) 21,000,000원을 입력하면 공급가액 Column에 21,000,000 / 1.1을 한 금액이 자동 수식 입력 되며 세액 Column에는 공급가액 * 0.1의 계산 값이 자동 입력됩니다.
- 공급자 Column : data2의 유일키인 상호명을 입력해야 합니다. 즉 현재 나의 상호명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곳을 입력하지 않으면 계산서 발행 단계에서 "공급자" 정보가 모두 에러로 표기됩니다.
- 구분 Column : 비고와 같은 선택 영역 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수기식 계산서를 주로 발행했지만 점차 전자 세금계산서의 발행 빈도도 증가하여 수기로 끊은 금액은 "수기" 전자로 끊은 금액은 "전자"로 구분 짓고 발행된 총 금액을 통합적으로 확인 및 관리하기 위해 해당 Column을 추가한 것입니다.
- 발행 확인 Column : 비고와 같은 선택 영역 입니다. 저 같은 경우 거래처로 계산서 송신까지 완료된 경우 초록색으로 색칠하였습니다.
- 세금 계산서 발행하기
ex) 위 그림과 같이 노란색 표기된 곳을 클릭하고 "현재 행 계산서 발행"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세금 계산서"시트로 자동 이동되면서 선택했던 행인 "코리아 호텔"의 정보가 자동 입력됩니다.
이곳에서 발행 NO란의 값은 "발행내역" 시트의 "발행 NO" Column의 유일키 입니다. (이곳에서 숫자를 바꿔 입력해도 다른 내역을 호출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내가 발행한 금액이 맞는지만 체크하고 바로 "인쇄 영역 자동 지정" 버튼 및 "인쇄" 버튼을 통해 출력 할 수 있습니다.
공급받는자 보관용과 공급자 보관용 각 하단에 상대방의 연락처 및 팩스번호가 자동 수식으로 입력되어 있습니다. 이 번호를 참조하여 FAX를 보내거나 수신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부록1 "간단한 수식 계산기"
"발행내역" 시트의 하단에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은 간단한 계산기가 있습니다. 합계금액 계산기와 공급가액 계산기가 있고, 더 아래에 합계금액 분할 계산기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저 외에 다른 분들 께서 얼마나 유용할 지 모르겠으나 혹시나 해서 간략한 기능을 알려드리겠습니다.
ex) 꾸준히 거래하던 업체가 매달 계산서를 받아가지 않고 갑자기 툭 나타나서 지난 6개월간 매입한 금액을 일정치 나눠서 끊어주세요.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끊어주면 절때 안되지만... 예를 들어 4,500만원에 대해 6개월치 분할로 할경우 단순 계산으로 45,000,000원 / 6 = 7,500,000원을 매달 끊어주면 되지만.. 이게 또 복잡한 무언가가 있기 때문에.. 아래 처럼 1차에는 -20%, 2차에는 -10%, 3차에는 0%.. 이것이 의미 하는것은 단순 계산으로 매달 7,500,000원에 대해 해당 %만큼 제한 금액으로 다른 차수에서 또 해당 %만큼 보태어 최종 합계금액이 45,000,000원 되도록 맞춰주는 계산기 입니다. (아 단순한 기능인데 설명이 더 어렵다 ㅠㅠ) 결과론 적으로 셋 째줄 가장 우측의 %가 0%가 되게끔 각 편차를 조절해주면 되고 편차가 발생시 우측 아래에 편차가 얼마나 나타났는지도 친절하게 알려줍니다. 반대로 세액을 제외한 공급가액 분할 계산기도 있습니다. 첫 째줄 우측인 숫자 "6"이 의미하는것은 6개월로 나눴을 때를 의미하는 것이고 5개월로 나누려면 "5", 4개월로 나누려면 "4" 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 부록2 - 도장 을 스캔하여 엑셀에 이미지 첨부하여 사용하세요
포토샵을 어느 정도 다룰 수 있다면 현재 내 사업장의 도장을 깨끗한 하얀 용지(A4)에 찍고 스캔 한 후 흰색 영역을 투명값으로 만들어 *.png 등 알파 값이 있는 포맷으로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쓰고 보니 조금 어려울 수 있겠네요ㅠ) 그럼 일일이 도장을 찍는 수고도 줄어들어요 :)
* 세금계산서 도장 넣는 방법에 대한 블로그를 최근에 작성 하였습니다 *
** 엑셀 내에 이미지 첨부 방법 : 지금 첨부 된 파일의 도장을 클릭하고 "우클릭" - "그림 바꾸기" - 나의 도장 이미지 선택
원본 → 투명값 빼기 →
이제 세금 계산서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일은 날려 버립시다ㅠ 사용하시는 분이 있을런지 모르겠지만 혹시나 버그 및 개선 사항 있으면 코멘트 날려주세요. 공부해서라도 열심히 수정해볼께요ㅎ : )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꼬맹이 전구 Bulbot (0) | 2014.08.11 |
---|